동일한 계정으로 여러 명이 svn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패스워드를 저장하지 않고, commit 하는 사용자별로 자신의 계정을 사용해서 commit을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대개 개발서버를 두고 작업을 하는 경우에 이렇게 하면 누가 commit을 하고, 해당 파일을 마지막에 수정했는지를 쉽게 파악이 가능합니다.
svn 을 shell에서 사용할때 패스워드 저장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1. 기존에 저장된 패스워드 삭제
-
[smlee@localhost .subversion]$ pwd
/home/smlee/.subversion
[smlee@localhost .subversion]$ mv auth oldauth
2. 패스워드 저장하지 않는 옵션 변경
-
[smlee@localhost .subversion]$ pwd
/home/smlee/.subversion
[smlee@localhost .subversion]$ grep password config
### Set password stores used by Subversion. They should be
### the order in which password stores are used.
### Valid password stores:
# password-stores = gnome-keyring,kwallet
### Both ‘store-passwords’ and ‘store-auth-creds’ can now be
### Set store-passwords to ‘no’ to avoid storing passwords in the
### but Subversion will never save your password to disk in
### Note that this option only prevents saving of *new* passwords;
### it doesn’t invalidate existing passwords. (To do that, remove
store-passwords = no
3. 이후에 svn commit을 하게 되면 마지막 commit 한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입력해야만 commit 이 가능해짐
==> 만약 자신의 계정이 아닌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 엔터만 입력해서 사용자 변경 가능
-
[smlee@localhost public_html]$ svn commit
인증 영역(realm):
‘smlee’의 암호:
인증 영역(realm):
사용자명:
Warning: array_merge() [function.array-merge]: Argument #1 is not an array in /home/smlee/blog/wordpress/wp-content/plugins/seo-facebook-comments/seofacebook.php on line 488
Warning: Invalid argument supplied for foreach() in /home/smlee/blog/wordpress/wp-content/plugins/seo-facebook-comments/seofacebook.php on line 490